나의 이야기

[스크랩]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

여우잡는늑대 2009. 11. 16. 16:13
다중지능 이론은 교육적으로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다중지능이론의 특징을 설명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학생의 잠재력을 최대한 계발해주는 것이 교육의 변함없는 과제이다. 
그런데 우리교육은 이제껏 언어적 지능, 논리·수학적 지능 계발만을 강조해왔을 뿐, 학생의 강점을 규명하고 계발하는 데는 소홀히 하였다. 
이러한 경향을 극복하고 학생중심의 교육을 모색한다는 의미에서 다중지능이론을 간단히 소개하고 그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을 논해 본다. 
 가드너가 설파한 다중지능으로는 
논리적 수학적 지능, 언어적 지능, 음악적 지능, 공간적 지능, 신체 운동적 지능, 자기이해 지능, 대인관계 지능, 자연 탐구 지능, 실존적 지능이 있다. 
그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사람들은 이러한 지능들을 모두 가지고 있고, 
그 각각의 지능들은 서로 독립해서 존재하며, 언어적 지능과 논리 수학적 지능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모든 지능이 동등한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각각의 지능들은 적절한 여건만 주어진다면 높은 수준까지 계발할 수 있다고 한다. 
개인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새로운 이론적 틀인 다중지능이론이 우리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에게 그들의 강점을 규명해주고 그 강점을 계발해주어야 한다. 
공평한 지능검사를 통해서 학생이 어떤 영역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가를 규명하고, 발달적 강점을 지속적으로 키워갈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한다. 
둘째, 균형 잡힌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학교는 인지교과중심에서 탈피하여 훨씬 다양한 지능의 스펙트럼을 담아내야 한다. 
셋째,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교수법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생은 각자 서로 다른 방식으로 지식을 수용한다. 그러므로 교사는 자신이 사용하는 수업방법과 학습자료가 각각의 지능과 관련하여 어떤 관련이 있는지 물어야 한다. 
넷째, 진정한 이해를 위한 대안적 평가가 자리 잡아야 한다. 
지필고사 중심의 평가에서 벗어나 각 학생에게 내재해 있는 발달적 특징과 강점을 규명하고 기록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데 유익한 수행평가를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다중지능 이론은 모든 학생들이 학습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수업설계가 이루어지면 모든 학생들이 학습목표에 쉽게 도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교사는 각 학생들의 강점을 계발해줄 수 있는 학습양식과 학습활동을 제시하여 그들의 잠재력을 꽃피울 수 있는 좋은 수업을 만들어가야 한다. 

[배경지식] 
* 기출 문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교사가 이 이론을 적용하여 교수·학습과정을 전개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논하시오. (2004년 유치원 기출) 
- 다중지능이론에 대해 설명 
- 교사의 교수·학습 전개시 고려할 점 3가지 
1) 다중지능이론 
지능의 상호 독립성과 동등성을 강조한 이론으로, 유아의 발달수준과 지능 영역을 진단하고 파악하여, 유아들의 강점의 계발을 강조하는 이론이다. 
여기에는 논리적 수학적 지능, 언언적 지능, 음악적 지능, 공간적 지능, 신체 운동적 지능, 자기이해 지능, 대인관계지능, 자연탐구지능, 실존적 지능 등이 있다. 
1) 논리-수리 지능(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수학, 과학, 논리 분야의 천재들에게서 발견되는 능력으로 수리적, 논리적 사고와 관련된 재능이다. 
2) 언어지능(linguistic intelligence): 문학가나 언론인에게서 나타나는 재능으로 기존의 지능 검사의 언어요인(verbal intelligence)에 해당된다. 
어휘의 소리, 리듬, 의미, 그리고 언어의 서로 다른 기능을 민감하게 파악하는 능력을 말한다. 
3) 음악지능(musical intelligence): 작곡가, 연주가, 성악가, 지휘자 등 음악가에게서 발견되는 음악적 재능을 말한다. 
4) 공간지능(spatial intelligence): 건축가, 기술자, 조각가, 미술가에게서 발견되는 재능으로 시각, 공간적 세계를 정확히 지각하고 
그 지각한 내용을 머리속에서 변형, 회전시켜 볼 수 있는 재능이다. 
5) 운동감각 지능(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운동선수, 무용가, 마술사에게서 나타나는 재능으로 자신의 신체적 동작을 완벽하게 통제하고 
물체를 솜씨있게 다루는 재능이다. 
6) 대인관계 지능(interpersonal intelligence): 카운슬러, 판매원, 석가나 간디, 소크라테스와 같은 종교인, 사상가 등에게서 발견되는 능력으로 
Thorndike (1920)가 말한 사회 지능(social intelligence)과 유사한 것이다. 가정이나 집단 등에서 다른 사람들의 기분, 기질, 동기, 의도를 잘 파악하고 
적절히 대하는 능력이다. 
7) 개인지각 지능(intrapersonal intelligence): 자신의 감정을 잘 알고 다스리는 사람, 신체적 컨디션과 행동을 잘 조절하는 사람, 종교인에게서 발견되는 능력으로 
자신의 느낌(feeling), 장단점, 특기, 희망, 지능, 관심 등을 잘 파악하는 재능을 의미한다. 
8) 자연관찰 지능(naturalist intelligence): 동식물이나 주변 사물 (가령 머리 스타일, 자동차, 운동화 등)을 자세히 관찰하여 차이점이나 공통점을 찾고 분석하는 능력이다. 
사냥꾼, 진화론을 세운 다윈과 같은 사람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9) 실존지능(existentialist intelligence): 처음에는 영적 지능(spiritual intelligence)으로 불렀던 것으로 인간의 존재 이유, 생과 사의 문제, 희로애락, 인간의 본성, 가치 등
 철학적인, 어떤 의미에서는 상당히 종교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 지능은 뇌에 해당 부위(brain center)가 없을 뿐 아니라 
아동기에는 이 지능이 거의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Gardner는 다른 8가지 지능과 달리 반쪽 지능으로 간주한다.)  
2) 고려해야 할 점 
① 유아들의 발달 수준과 지능을 진단하여 발달에 적합한 교육을 한다. 
② 유아들의 흥미를 고려하여 주제 중심, 흥미 중심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③ 유아들의 일생생활이라는 실제 맥락 속에서 접할 수 있는 활동을 중심으로 교육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④ 다중지능을 가장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는 수행평가의 일종인 프로젝트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유아의 잠재적인 지능을 평가한다. 
⑤ 유아의 잠재적인 지능과 그에 알맞은 교육과정을 연결하여 교육한다. 
⑥ 유아의 잠재적인 지능을 계발하기 위해 지역 사회를 학습의 장으로 확대하여 유아의 잠재적인 지능과 사회를 밀접하게 연결시킨다. 
3) 다중지능이론의 핵심(특징) 
다중지능 이론의 특성과 이론적 배경을 고려해 볼 때, 다중지능의 핵심은 서너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Armstrong, 1994). 
첫째, 모든 개개인은 이 여덟 가지 지능을 모두 가지고 있다. 
이 이론은 어떤 사람에게 맞는 한 가지 지능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시된 이론은 아니다. 
하나의 인지적 기능에 관한 이론으로서 모든 개개인이 정도의 차이가 나겠지만 이 여덟 가지 지능을 모두 갖고 있다고 보며, 
여덟 가지 지능이 합해져서 독특한 방식을 가진 한 사람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독일의 시인이자, 과학자이며 철학가인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처럼 어떤 사람은 여덟 가지 지능이 모두 빼어 날만큼 우수할 수 있고, 
야구선수 박찬호처럼 한 가지 지능이 다른 지능에 비해 특히 우수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박찬호 선수가 신체-운동적 지능만 우수하다는 것은 아니다. 
그는 타자의 심리를 잘 읽어 낼 수 있는 대인관계 지능이나, 자신이 위기에 처했을 때 자신을 이해하고 통제할 수 있는 자기이해 지능, 
더 나아가 자신이 던진 공의 속도와 더불어 타자가 방망이 휘두르는 속도, 바람의 속도 등을 계산해 내는 논리-수학적 지능이 남들보다 뛰어날 수도 있다. 
둘째, 모든 사람은 각각의 지능을 적절한 어떤 수준까지 개발시킬 수 있다. 
가드너는 사실상 모든 사람들이, 만약 적절한 여건(용기, 좋은 내용, 좋은 교육)만 주어진다면, 비교적 높은 수준의 성취를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가드너가 예로 든 것은 Suzuki Talent Education Program이다. 이 프로그램의 창시자이자 바이올린이스트, 교육자, 철학자, 인간주의자인 Shinichi Suzuki는 
지난 반세기 동안 자국(自國)에서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음악 교육에 영향을 끼쳐왔다. 
특히, 그는 "음악적 재능은 타고난 것이 아니라 계발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졌고, 누구든지 적절하게 교육을 받으면 음악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였고, 
이를 실천함으로써 증명하였다. 아마, 특기·적성 교육의 성공을 보여준 가장 시범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여덟 가지 지능들은 여러 가지 복잡한 방식으로 함께 작용한다. 
지능들은 항상 서로 교류하면서 작용한다. 예를 들어, 요리를 한다고 할 때에, 먼저 요리법을 읽어야 하고(언어적 지능), 
이 때 요리를 몇 단계로 나눌 때도 있고(논리-수학적 지능), 가족의 모든 사람의 취향을 고려해야 하고(대인관계 지능), 뿐만 아니라 
자신만이 잘 창출해내는 맛을 자아내게 해야한다(자기이해 지능). 축구나 야구처럼 운동 경기를 고려할 때도 이와 같은 예는 너무나 많다.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다중지능 이론에서 각 지능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효율적으로 학습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지 
이들을 각각으로 분리하여 어떤 특출한 하나만을 집중적으로 계발하자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이들 여러 지능들은 서로 협응(協應)하여 작용하기 때문이다. 
넷째, 각 지능 영역 내에서도 그 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많은 방법들이 있다는 것이다. 
어떤 지능 영역에 있어서 지능적이라고 간주되어질 수 있는 한 가지 표준화된 특성은 없다. 
어떤 사람은 읽지는 못하지만, 이야기를 참 잘하거나 다양한 어휘를 갖고 있는 경우도 있다. 운동장에서 달리기는 못하지만, 
기민한 행동을 요하는 작업은 잘하는 사람도 있다. 다중지능 이론은 개개인이 가진 독특한 지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풍부한 방법을 추구할 뿐만 아니라 
각 지능들 사이의 관계를 통한 지능 향상 방법을 추구한다. 
출처 : 내 마음 속의 아름다운 오솔길
글쓴이 : swan & rose 원글보기
메모 :